2진수는 읽다보면 눈이 아플정도로 보기 힘들다.
그래서 나온 것이 아래 방법들이다.
8진 표현법
8진 이라는 말은 밑이 8이라는 의미다.
즉, 2진수가 3개 있는 것이다.
100101110001010100 같이 머리아픈 2진수를 3개씩 나누어서 읽는다고 보면 된다.
100 | 101 | 110 | 001 | 010 | 100
이렇게 하면 한칸을 3비트라고 생각하고 456124라고 읽으면 된다.
16진 표현법
16진이라는 말은 밑이 16이라는 의미다.
즉, 2진수가 4개 있는 것이다.
1001011100010101을 16진 표현법으로 하면
1001 | 0111 | 0001 | 0101 라고 할 수 있다.
읽는 방식은 8진과 동일하나 10~16에 이르는 6가지 숫자는 abcdef라는 기호를 사용한다.
즉, 1010은 a
1011은 b
1100은 c
1101은 d
1110은 e
1111은 f 다.
프로그래밍 언어의 진법 표기법
2진수, 10진수, 8진수, 16진수를 구분하기 위한 방법이다.
1) 0으로 시작하는 숫자는 8진 숫자다.
2) 1~9사이의 숫자로 시작하는 숫자는 10진수다.
3) 0x가 붙은 숫자는 16진수다.
+) 2진수의 경우 c++과 같은 몇몇 언어는 0b를 붙여서 구분하기도 한다.
반응형
'비전공자 스터디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스키코드, 유니코드 변환 형식 8비트 (0) | 2022.01.12 |
---|---|
비트 그룹_니블, 바이트, 하프워드, 워드, 더블 워드 (0) | 2022.01.11 |
2진수로 수를 표현하는 다양한 방법들 (0) | 2022.01.06 |
실수를 표현하는 방법 (0) | 2022.01.05 |
정수를 비트로 표현하는 방법 (2) | 2022.01.04 |